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은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의 6륜 구동 방식의 전기 추진 지상무인체계(UGV)이다.
다목적무인차량은 보병부대에 편성되는 2톤급 차량으로 고위험 전장환경에서 병사 대신 물자 및 탄약수송, 수색·정찰, 환자후송, 근접전투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래형 국방로봇 체계이다(방위사업청 설명).

개발 업체인 한화디펜스는 2021년 3월 31일, 육군이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에 대해 수출용 무기체계로서 군 시범운용이 가능하다는 검토 내용을 방위사업청에 통보했다고 밝히고, 이어 방위사업청 승인에 따라 9월 28일 육군(5보병사단)과 다목적 무인차량 군 시범 운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범운용은 10월 5일부터 착수돼 원격운용, GPS기반 자율주행, RCWS(원격사격통제체계) 운용 등 전술적 운용을 테스트한다.
한화디펜스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민·군 협력과제로 4륜 구동 방식의 전기추진 ‘보병용 다목적무인차량’을 개발한 바 있는데, 이 차량이 성능시험 장비로서 버전 1.0의 성격을 가진다면,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은 그 보다 최고속도와 적재중량, 항속거리 등 주요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며 해외고객의 만족도를 높인 버전 2.0의 수출형 제품이다.
적재 중량이 기존 4륜 구동의 '보병용 다목적무인차량'의 200kg 보다 2배 이상 늘어나 500kg 이상의 고(高)하중 전투물자 수송과 부상자 후송 등 전투지원 능력을 크게 높였으며, 1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항속거리도 100km이상으로 기존 25km 대비 4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 군용 통신망 외에도 상용 5G/LTE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조 통신중계 기능이 있어 산악지형 등에서도 원격·자율주행 및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 두절 시엔 1분간 스스로 통신 재연결을 시도한 후 미복구되면 최초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스마트 자율복귀’ 기능도 갖췄다.

'군사 > 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무인체계 개발운용 사례 (0) | 2022.10.21 |
---|---|
해양 무인 체계 개념과 정의 (0) | 2022.10.21 |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 RCWS KAAV (0) | 2022.10.21 |
자율 터널 탐사 로봇 ATE (0) | 2022.10.21 |
현대로템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 (0) | 2022.10.21 |
초견 로봇 (0) | 2022.10.21 |
기지 방호 로봇 (0) | 2022.10.21 |
견마로봇-Dog Horse Robot / 犬馬 robot(4족 보행 로봇)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