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정부 24 바로가기

전입신고 신고 방법을 통해 실수 또는 오류 없이 결과를 완성하세요. 잘못해서 중간에 한번이라도 틀리면 다시 재작성을 해야 합니다. 미리 읽어보고 실수해서 재작성 하는 짜증 없이 한번에 패스!!

[정부24 사이트에서 꼭 전입신고를 하세요! 신청 즉시 처리 완료]
STEP 01. 신청인 정보 입력
① 신청인의 연락처를 확인해 주세요.

②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 후, 다음단계를 클릭하세요.


STEP 02. 전에 살던 곳 및 이사 가는 사람 입력
③ 전에 살던 곳의 주소 정보를 입력후 주소조회를 클릭하세요.

④ 이사 가는 사람을 선택하세요.

⑤ '세대주 확인 메세지 통지'를 위해 세대주(이사 전에 살던 곳)의 연락처를 입력한 후, 다음단계를 클릭하세요(신청인이 세대주가 아닌 경우 입력)

STEP 03. 새로 이사온 곳 및 기타 정보 입력
⑥ 먼저 주소검색을 클릭하여 새로 이사 온 곳의 주소를 불러온 뒤 나머지 상세주소를 입력합니다.

⑦ 두 개 중 해당하는 구성을 선택하세요.

⑧ 기존에 살고 있던 세대주 정보를 입력하세요. 신청인과 전입지 세대주가 다른 경우 '전입지세대주확인용'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⑨ 해당하는 구성을 선택하세요.

⑩ 이사온 사람과 (새로 이사 온 곳의) 기존 세대주와의 관계를 선택하세요.

⑪ 우편물주소 이전 서비스를 신청하면 3개월간 이사 가는 곳으로 우편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선택사항)

⑫ 초등학교 배정을 신청하면 주민센터에서 주소지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배정이 진행됩니다.
⑬ 요금감면 일괄신청 서비스를 신청하면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한해 전기요금, TV수신료, 도시가스요금, 지역난방비의 부담완화를 위해 요금을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⑭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하면 전입신고 신청이 완료됩니다.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 신청 완료된 것이 아니며, 7일 이내 세대주 확인 시 전입신고 신청이 완료됩니다.)

[정부24 사이트에서 꼭 전입신고를 하세요! 신청 즉시 처리 완료]

| 청년 부동산 전세/월세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마감) (0) | 2024.01.22 |
|---|---|
| 전입신고 온라인&방문신고 구비서류 (0) | 2024.01.22 |
| 확정일자 인터넷 등기소 바로가기 전 사전준비(인증서, 회원가입) (0) | 2024.01.22 |
| 전세 월세 임대 보증금 대항력으로 보장받기(확정일자) (0) | 2024.01.22 |
| 부동산 중개수수료 전세/월세 계약시 얼마죠?(깎는 방법 포함) (0) | 2024.01.22 |
| 확정일자 인터넷 신청 (전세·월세) 5분안에 끝내기 (0) | 2024.01.19 |
| 전세/월세 임대 계약서 초보도 유리하게 쓰는 특급 노하우! (0) | 2024.01.19 |
| 전세 계약 연장, 계약서 꼭 작성해야 하나요?(묵시적갱신) (0) | 2024.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