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군사/무기

30mm 비호 복합 대공 화기

법률 소녀 2023. 11. 28. 05:14

표적을 향해 신궁을 발사하고 있는 비호복합체계
표적을 향해 신궁을 발사하고 있는 비호복합체계

 

고속입체 기동전이라는 현대전의 양상 속에서 대공화기는 미국의 LAV-AD 체계에서 보듯이 대공포(Gun)와 휴대용 대공유도무기(PSAM)를 동시에 탑재하고, C4I 연동 및 통합정보 전시, 그리고 주행 중 사격이 가능한 신속 대응성 향상 추세로 발전해왔다. 

 

 

이는 짧은 사거리를 갖는 대공포의 취약점을 휴대용 대공유도무기로 보강함은 물론 이 두 가지 대공무기를 단일 차체에 탑재해 기동성과 함께 운용의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함인데, 적기가 나타나면 먼저 사거리 5km 내에서는 휴대용 유도무기로 교전한 후 이를 회피해 들어오는 적기에 대해서는 대공포로 사격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사거리 3km 이상에서는 유도무기가, 사거리 2km 이내에서는 대공포가 훨씬 높은 명중률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군에서도 도로와 평지에서 기동성을 살릴 수 있는 차륜형 자주대공포의 확보와 함께 효율적인 방공 전력 건설을 위해 대공포와 휴대용 대공유도무기를 복합화하는 대공무기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비호복합의 운용 개념도.
비호복합의 운용 개념도.

 

 

이런 필요성에 맞춰 2010년부터 두산DST, 삼성탈레스, LIG넥스원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구경 30㎜ 자주대공포 비호에 휴대용 대공유도탄 신궁을 발사하기 위한 복합대공화기(비호복합)체계 개발사업이 진행됐으며, 개발 및 운용 시험평가 기간 동안 주·야간 수행된 9발의 유도탄 사격을 모두 명중시키는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2013년 12월 27일 이 연구개발 및 규격화가 완료되었음을 발표했다. 비호복합은 별개의 무기체계를 복합화하는 무기체계로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무기체계가 된다. 대공포와 유도탄을 복합화(hybrid)한 무기체계로는 스팅어 유도탄을 탑재한 이스라엘의 ‘마흐벳’, 미국의 ‘브래들리 라인베커’가 있다.

 

비호복합은 레이더, 방공자동화체계(C2A), 전자광학장비(EOTS 추적기)와 같은 탐지·추적 장치를 연동시켜 유도탄 발사 절차를 자동화하고 신속 정확한 교전이 가능하도록 신궁의 성능을 극대화 시킨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즉 레이더 및 전자광학장비(EOTS 추적기)를 활용해 원거리에서 표적을 조기에 획득할 수 있는데 EOTS는 고각탐색을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에 대한 자동추적(auto tracking)을 수행한다. 또 표적의 속도 및 진행 방향에 따라 사수에게 포와 유도탄을 선택하도록 추천하는 기능과 함께 유도탄 선택에 따른 사격절차를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한 교전이 가능하다.

 

 

방공 C2A과도 연동돼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방공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호복합은 유도탄-대공포 또는 유도탄-유도탄 연속 사격을 통해 다수의 표적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며, 대용량 고압용기를 적용해 한 발의 유도탄에 대해서 수회 재교전이 가능하다.

 

■ 사업 추진 경과

 - 2005. 12. : 장기소요 결정(제216차 합동참모회의) 

 - 2007. 12. : 중기전환(제229차 합동참모회의) 

 - 2010. 05. 02. : 협상대상업체 결정(두산DST) 

 - 2010. 08. 25. : 체계개발 사업착수 

 - 2013. 01. 31. : 개발시험평가 판정("기준충족") 

 - 2013. 11. 08. : 운용시험평가 판정("전투용적합") 

 - 2013. 12. 20. : 규격화(제40회 군수조달 분과위) 

 - 2013. 12. 31. : 체계개발 종료 

 - 2013. 03. 06. : 1차양산계획 제155회 사업관리분과위 승인 

 - 2014. 03. 12. : 1차양산계획 승인(제76회 방추위) 

 - 2014. 11. 12. : 1차양산 계약 

 - 2015. 8.~10. : 야전운용시험(FT) 

 - 2016. 10.~11. : 전력화평가(IOC)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