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역사 K1 먼저 전력화됐지만 우리 소화기 본류는 K2

     

    무기체계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또 기본 병기로 꼽히는 것이 ‘제2의 생명’이라고 일컫는 소총이다. 특히 소총은 가장 기본이 되는 만큼 그 나라의 국방력, 자주국방의 대표적인 무기체계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 군의 경우 5.56㎜ 탄을 사용하는 K1A 기관단총과 K2 소총이 여기에 속한다.  소화기로서 기관단총으로 분류되는 K1A는 국내 개발 무기체계 가운데 최초의 독자 모델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무기체계의 획기적인 발전은 중국이 발명한 흑색 화약(Black Powder)에서 비롯됐다. 우리나라는 고려 말 1375년 최무선이 화약 제도에 성공하고 곧이어 1377년 화통도감을 설치해 국내 총포 제작의 기원을 이뤘다.

     

    이때 화약을 이용해 청동이나 철로 된 통 속에 화살이나 탄환을 넣어 발사하는 무기, 총통이 등장한다.

     

    총통은 대부분 땅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격하는 것이 보통인데, 조선 세종 때 화약의 힘으로 화살이 발사하는 제일 작은 휴대용 화기(오늘날의 권총에 해당)가 등장한다.

     

    세(細)총통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전체 길이가 14㎝, 구경이 9㎜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소화기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병사의 손으로 화약을 사용해 금속 총열에서 비행체를 어느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표적까지 비행시켜 적을 살상할 수 있는 장치를 소총이라고 정의할 때 조선조 선조 때 개발된 승자(勝字)총통이 우리나라 소총 개발의 시초라고 본다.

     

     

     

    승자총통은 병사(兵史) 김지에 의해 개발됐다. 현재 남아 있는 실물 유물 중에 제작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1575년이며 문헌기록에는 1583년에 처음 등장한다.

     

    기본형의 경우 길이 56㎝·구경 26㎜ 정도의 소형 총통이다. 독일에서 발굴된 1399년제 캐넌 록(Cannon Lock)식 소총과 그 기능이 유사한데, 서양의 기록과 비교해 보면 대략 178년 후에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셈이다.

     

    이후 우리나라는 선조 26년 1593년 조총의 모방개발에 성공했고 그 후 제조 기술이 정착돼 한때 조총의 생산량은 연간 3400여 정에 달하기도 했다.

     

    또 조총의 개량을 위해 꾸준한 노력도 기울여 차륜식 방아틀총(Wheel-lock), 수석총(燧石銃·Flint-lock) 등이 개발됐으나 크게 성공하지는 못했다. 사거리가 약 1000보 정도 되는 천보총이 개발돼 영조 원년(1737년)부터는 일부 생산, 배치돼 성을 지키기 위한 화기로 운용됐다.

     

    1890년의 기록을 보면 조선 별기군이 6.5㎜ 촌전(村田)총 2만 정을 일본에 주문했다는 내용도 있다.

     

    일제 강점기를 지나 광복을 맞이한 후 우리 군은 창군기에는 일제가 쓰다 남긴 38식·99식 소총을 갖췄다. 38식 소총의 경우 일본군이 1919년 청산리 전투를 비롯, 우리 독립군과의 전투에서 거의 예외 없이 이 소총을 사용해 우리나라와는 악연이 많은 총이라고 할 수 있다.

     

    1948년 건군에 즈음해서는 M1 소총이 지급돼 국군 주력 소총 계보의 첫머리를 장식한 가운데 6·25전쟁을 치렀다. 카빈도 병용되는 가운데 M-1 소총이 현역에서 물러난 것은 1978년이다. 베트남전 파병 장병들이 쓰던 미제 M16소총을 1974년부터 국내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까닭이다.

     

    육군특수전사령부 요구로 K1A부터 전력화 독자적인 소총 개발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창설 이후 1972년 말부터 본격화됐다. 초기 단계인 1974년까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서 개발된 B형 소총을 개량한 XB-1형, M16A1 소총 부품을 일부 활용한 XB-2·3·4·5형 등을 개발했으며, 1975년부터는 그간에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독자적인 설계에 의해 7.72㎜ 나토(NATO)탄용 XB-6 및 XB-6A형을 개발했다.

     

    그 후 한국형 소총은 5.56㎜ 구경을 개발하기로 해 1977년 6월부터 5.56㎜ XB-7형 소총 개발에 착수, 1980년도에 XB-7B형으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육군특전사령부의 요구에 따라 이 사업과 병행, 1976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 5.56㎜ 한국형 기관단총으로 이것이 바로 K-1이며 이를 개량한 것이 현재 야전에서 운용 중인 K1A다. K1(A)은 개머리판을 밀어넣을 때 그 길이가 650㎜에 지나지 않고 무게가 2.8㎏으로 휴대하기 간편하다.

     

    K1이 먼저 전력화됐지만 사실 우리 군의 소화기 본류는 K2다. 신체 조건을 고려해 전장 97㎝로 짧게 설계한 K2는 접철식 개머리판을 사용해 휴대성과 기동성을 높였다. 조준은 가늠쇠틀의 외곽원(가늠쇠 울)과 가늠자의 구멍을 맞추는 동심(同心) 원리를 채택해 조준이 빠르고 정확하다. 특히 M16A1이 단발 및 연발로만 사격할 수 있는 데 비해 K-2는 3발 점사 장치를 추가해 연발 사격에 따른 탄약 낭비를 억제시켰다.

     

    우리 군은 이어 K3 5.56㎜ 경기관총, K4 고속유탄발사기, K5 권총, K6 중기관총, K7 소음기관단총을 전력화한 데 이어 최근에는 이 같은 바탕 위에 세계 최초로 공중폭발탄과 5.56㎜ 소총탄을 함께 쓰는 K11 복합형소총, K12 헬기 탑재용 7.62mm 범용기관총, K14저격소총 등을 잇달아 개발했다.

     

    TIP

    소구경 탄약 첫 생산은 1959년 국내 소구경 탄약의 생산 개발의 역사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0년대 중반 6·25전쟁 이후 미국으로부터 원조물자로 제공된 탄약 생산 장비를 이용해 1959년 구경 .30(7.62㎜) 탄약을 국내 기술로 최초 생산했으며, 소구경 탄약 중 연간 소모량이 가장 많은 5.56㎜ 탄약은 1974년에 이르러서야 최초 생산에 성공했다.

     

    '군사 > 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G넥스원 AUV  (0) 2022.11.21
    USV M-서처  (0) 2022.11.21
    트레이서 무인수상정 자율주행 연구를 위한 연구용 선박  (0) 2022.11.21
    USV 해검  (0) 2022.11.03
    M1 개런드  (0) 2022.11.03
    M3 기관단총  (0) 2022.11.03
    브라우닝 자동소총(BAR)  (0) 2022.11.03
    MP7 SMG  (0) 2022.11.03